Monday, November 7, 2011

칼라 e-ink 기기 - 엑타코 제트북 칼라(JetBook Color)

일전에 소개해 드렸던 제트북 칼라의 동영상입니다.
이 기기는 소개를 보면, 교육용으로 만들어져있다고 하네요,

9.7 인치로 거의 킨들 DX와 사이즈가 같습니다.
사이즈는 일단 맘에 듭니다. 교육용이라면 이정도 사이즈는 되어야지요,

두께나 이런건 둘째치고,
충격적인것은 느린 반응속도 입니다.

거의 킨들 2세대급 반응속도네요,

하도 LCD, OLED기기들만 보아와서, 저 반응속도에는 별로 답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지만, 일단은 시제품이니,  그러러니 하고요

우크라이나랑 러시아에서 교육목적으로 사용을 한다는 군요,





킨들 4를 보면 반응속도가 그렇게 불만은 없는데, 저 제트북은 좀 심각하네요,
저 반응속도를 개선하지 않으면 크게 승산이 없어보입니다.

엑타코가 잘알려져있지 않은 회사 같지만,
스캐너 분야에서 나름 입지를 구축해 왔던 회사입니다.

좀더 개선된 버젼들이 등장했으면 좋겠네요,




Sunday, November 6, 2011

칼라 E-ink (Triton) 상용제품 출시

대만의 PVI사가 E-ink 홀딩스로 이름을 변경하였네요, (예전에, )


일단은 킨들에 공급하는 e-ink 패널은 저 eink홀딩스에서 공급을 하는 것 같습니다. 


퀄컴의 미라솔은 MEMS방식으로 칼라를 구현하였다면, 


eink사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LCD와 같은 방식으로 칼라 e-ink를 구현을 한거 같습니다. 


triton이라고 이름을 붙였네요, 


 

밑에는 e-ink 캡슐을 깔아놓고, 그위에 컬러필터를 올림으로서 칼라를 구현하는거 같은데, 


미라솔이랑은 방식이 좀 다르고 아마도 해상도가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정확한 칼라를 구현하는것은 둘째치고, 


실물이 엑타코사의 JetBook color와 Hanvon의 ‘e.pbooks C920’에 사용을 한것 같습니다. 


아직 실제 팔리는 제품은 아니고 시제품 정도인것 같습니다. 


오른쪽에 있는것은 hanvon사의 시제품이라는데 , 그냥 겉보기만 봐서는 여타의 테블릿과 크게 다르지 않네요, 
*hanvon사는 중국계회사인거 같고요, 테블릿등을 만드는 회사 같습니다


검색을 해보니, 저 color e-ink 기술이 WSJ Innovation Award 를 탓다고 나오는거를 봐서는 흥미가 있습니다.. 


대략적인 스펙을 보니, 4096 color라고 나온것을 봐서 , 4bit color 로 현재 LCD제품과는 아직 한참 거리가 있지만 칼라가 된다고 하니, 점차나아지겠죠,


일단 장점이 명확한 기계이니, 저전력, 가독성, 


모토도 사실 맘에 듭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기술이 맞아요,  


책을 만들기 위해서, 일년에 종이로 만들어지는 나무가 몇그루 일까요,, 


정말 마케팅하기 좋은 디바이스인데,  앞으로가 더 기대됩니다. 










Saturday, November 5, 2011

미라솔 디스플레이 (칼라 e-ink)

e-ink 기술은 LCD계열과 다르게 자체 발광이 없습니다.
반사광을 이용하지요,, 그래서 e-ink 계열은 눈이 상대적으로 편안합니다.

LCD쪽은 반응속도는 빠르나, 이게 사람이 빛을 쳐다보기때문에,
장시간 보다보면 상당히 피곤합니다.


그래서 항상 e-ink 계열 기기를 관심있게 보고 있었는데,
놀라운 뉴스가 나왔습니다.

세계에서 최초로 교보문고에서  미라솔기기를 내어놓는다고 하네요,








위치 자료는 CES 자료인데 저 동영상 대로라면,
정말 일대 혁신이 일어날 거 같습니다.

e-book reader는 저 미라솔이 아마도 센세이션을 일으키지 않을까 합니다.
왜냐하면, e-book의 최종 목표는 무엇일까요,,,

textbook입니다. 교육시장으로 진입,  textbook은 시장 규모가
사람들이 취미나 정보수집으로 보는 책들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왜냐하면 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기때문에,
전자책이 보급된다고 하면, 매년 수십만대의 수요가 생기죠,,,

그래서, 교과서의 경우는 장시간 읽어야 되기때문에, 눈이 피로하면 안됩니다.

그래서 현재의 LCD,OELD기기로는 한계가 있죠,,

그렇기때문에 저런 반사광을 이용하는 기기들이 들어서야 되는데,

그것이 킨들이었고, e-ink였습니다. 근데 e-ink는 그레이만 되는데다가,

결정적으로 반응속도가 느렸죠,, 동영상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미라솔을 보면 반응속도도 빠르고요, 현재까지의 단점은 정확하지 않은 색표현과,

가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MEMS를 사용하는거라 막굴릴때, 내구성도 사실 조금 의심이 가는데요 , 시제품을 봐야지 알수 있을거 같습니다

만약에 저 기기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인류는, 정말 새로운 시대로 진입하게 될것으로 보입니다.

그것도 교보에서 제일먼저 시제품이 나온다니, 기대를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글타래